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

(6)
엽록체 구조 엽록소란? 엽록체 식물세포에 있는 막은 3개로 나뉘어지나 이중막 구조 소기관이다. 원핵생물처럼 이분법으로 늘어난다. 진핵세포가 광합성을 하는 남세균을 삼켜서 형성된 내부 공생으로 생겨난 소기관이다. 빛 에너지를 이용해 광합성을 하여 포도당을 합성한다. ①외막 진핵세포가 원핵생물을 삼킨 막에서 유래하였다. 외막에 포린 단백질이 존재하여 작은 분자들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포린 단백질을 쉽게 말해 막에 큰 구멍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②내막 남세균의 세포막에서 유래하였다. 내막에 운반 단백질들이 있어서 여러 분자들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킨다. ③틸라코이드 막(=틸라코이드 내막) 엽록소 등 광합성 색소들과 명반응과 관련된 효소들이 존재한다. 막지질로써는 황지질과 갈락토지질이 풍부하다. 이렇게 당지질이 풍부한 이유는 무엇..
진핵생물의 구조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 진핵세포가 산소를 이용하는 호기성 세균을 삼켜서 형성된 내부 공생으로 얻어진 소기관이다. 원핵생물처럼 이분법으로 늘어난다. 미토콘드리아는 산화적 인산화로 ATP를 합성한다. 세포가 에너지를 많이 필요로 하면 미토콘드리아는 많이 만들어야 되니까 신장하여서 분열하고, 세포의 에너지 요구량이 줄어들면 자가포식소체 등에 의해서 파괴된다. 여기서 자가포식소체란 오래되고 쓸모없는 세포 소기관을 파괴하기 위해 생겨난 것이다. ①외막 진핵세포가 원핵생물을 삼킨 막에서 유래하였다. β-통 구조의 포린 단백질이 존재한다. 쉽게 막에 큰 구멍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포린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그람 음성균의 외막 등에서 발견된다. 5 kDa 이하의 분자들이 자유롭게 통과한다. 더 큰 분자들은 다른 수..
진핵생물의 구조 액포 올레오솜 글리옥시좀 퍼옥시좀 표지단백질들 액포 식물세포에는 리소좀이 없다. 식물세포에서 리소좀 대신으로 액포는 가수분해효소가 들어있어서 가수분해 기능을 수행한다. 액포 막에 H+ 펌프가 있어서 액포 내부를 산성 pH로 유지한다. 액포는 노폐물, 양분, 색소, 독성 물질 등을 저장한다. 독성 물질의 예로는 카나바닌이 있는데 초식동물이 먹고 죽도록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저장한다. 색소의 예로는 안토시아닌이 있는데 보라색 색깔을 나타내는 색소이다. 세포가 성숙할수록 액포의 크기는 점점 커진다. 그래서 오래된 세포일수록 액포가 발달해 있다. ①중심 액포 세포 부피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중심 액포 내부에는 많은 용질들이 있어서 물이 들어오면 삼투 현상에 의해 액포가 팽창할 때 세포벽을 미는 힘인 팽압이 가해진다. 이 팽압으로 중심 액포는 세포를 지..
진핵생물의 구조 조면 소포체 골지체 리소좀 저장병 2023.01.20 - [일반생물학] - 진핵생물의 구조 핵 활면 소포체 진핵생물의 구조 핵 활면 소포체 핵 DNA가 존재하여 유전자들이 전사되는 장소이다. 리보솜이 조립되는 장소이다. ①핵질 핵 내부를 이루는 반유동성 물질이다. DNA와 여러 가지 단백질들을 합쳐서 염색질이라고 하는데 핵질의 sojjang.tistory.com 진핵생물의 핵, 활면 소포체에 설명해 놓은 이전 글이다. 조면 소포체(RER) 조면 소포체는 소포체 표면에 리보솜이 붙어 있는 단일막 구조 소기관이다. 조면소포체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설명해 보겠다. 리보솜에서 단백질 번역이 일어나면서 신호서열 부분이 번역이 될 때 신호서열 부분에 SRP라는 단백질이 붙는다. 이 신호서열은 소포체로 데려다 달라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 SRP가..
진핵생물의 구조 핵 활면 소포체 핵 DNA가 존재하여 유전자들이 전사되는 장소이다. 리보솜이 조립되는 장소이다. ①핵질 핵 내부를 이루는 반유동성 물질이다. DNA와 여러 가지 단백질들을 합쳐서 염색질이라고 하는데 핵질의 대부분이 염색질이다. 히스톤 단백질에 감긴 DNA들에 유전 정보가 존재한다. ②인 인은 막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이 아니다. DNA들이 펼쳐져 붐벼 있어서 현미경으로 까맣게 보인다. 핵 내에 한 개 이상은 꼭 존재한다. rRNA 유전자 서열들이 모여 있어서 활발한 전사가 일어나고 인에서 40S 소단위체와 60S 대단위체가 조립된다. 리보솜은 소단위체와 대단위체가 조립되어 완성되는 것인데 이 소단위체를 구성하는 건 rRNA와 단백질이다. 진핵생물은 18S rRNA와 수십 개의 여러 단백질이 합쳐져서 40S라는 소단위체가 구..
페닐케톤뇨증이란? 일반생물학 혈뇌장벽 : 뇌는 아주 중요한 부위이다. 그래서 몸에 있는 물질이 함부로 뇌로 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뇌로 가는 모세혈관이 일반 모세혈관과는 좀 다르다. 그래서 몸과 뇌를 격리시킬 수 있는 것이고 몸과 뇌를 격리시키는 장벽을 혈뇌 장벽이라고 한다. 페닐케톤뇨증 1) 원인 : 상염색체 열성 질환이다. 태어난 아이는 몸의 발달을 위해서 혈중에 아미노산들이 잘 공급되어야 한다. 그런데 페닐알라닌 대사가 제대로 안 일어나서 혈중에 페닐알라닌이 많이 쌓이게 되면 LNAAT가 페닐알라닌으로 포화된다. 여기서 LNAAT란 혈뇌 장벽에 아미노산만 통과하는 구멍이다. 아미노산 중에서도 류신, 이소류신, 발린, 티로신, 트립토판 등을 주로 수송한다. 페닐알라닌 대사를 간단히 말해보자면 페닐알라닌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