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생물학

[일반생물학] 1장 생명의 특성 및 진화 체계

1) 생물체의 다양성

(1) 원핵생물

: 세포막은 있는데 막으로 구성된 세포 소기관이 없는 생물을 말한다. 이 말은 핵이 없다는 말도 포함한다. 핵은 핵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막으로 구성된 세포 소기관이기 때문이다.

①고세균

: 극한 환경에 사는 생물이다. 소기관이 없고, 핵이 없으므로 DNA는 세포질에 펼쳐져 있다. 고세균에는 호열성 세균, 호염성 세균, 메탄 생성균이 있다.
호열성 세균은 열을 좋아하므로 온천에 서식한다. 호염성 세균은 짠 환경을 좋아한다. 그래서 세포 안에 이온과 유기물을 축적하여 세포 안의 삼투압을 굉장히 높게 만들어 주변환경과 삼투압의 balance를 맞춰준다. 'balance를 맞춰준다'는 말이 세포 안과 주변환경의 삼투압이 비슷하다는 말로 보면 된다. 메탄 생성균은 공기가 없는 혐기성 환경에서 서식한다. 혐기성 환경에는 동물의 대장, 늪의 침전물 속이 있다.

②진정세균

: 원핵생물 중 대부분이 진정세균이다. 소기관이 없고, 핵이 없으므로 DNA는 세포질에 펼쳐져 있다. 진정세균에는 종속영양 진정세균과 독립영양 진정세균이 있다.
종속영양 진정세균은 주변에 있는 물질들을 먹으면서 살고, 예로는 대장균이 있다. 대다수의 세균들이 종속영양을 한다. 독립영양 진정세균에는 녹세균, 홍세균(=자세균)과 남세균이 있다. 이들은 다 광합성을 한다.

(2) 진핵생물

: 세포막이 있고, 막으로 구성된 세포 소기관들이 있는 생물을 말한다. 그 말은 핵이 있다는 말을 포함한다.

①균류

: 종속 영양(=광합성을 하지 않는다)을 한다. 균사 구조를 지니고, 세포벽의 성분이 키틴질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이 균과 세균은 다르다는 것이다. 균은 버섯, 무좀, 효모, 곰팡이를 말하고, 세균은 고세균과 진정세균을 말한다.

②식물

: 광 독립 영양 생물들을 말한다. 광 독립 영양 생물이란 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이산화탄소를 주요 탄소원으로 하는 생물을 뜻한다.

③동물

: 화학 종속 영양 생물들을 말한다. 화학 종속 영양 생물이란 이미 만들어진 유기화합물을 산화함으로써 에너지와 탄소를 얻는 생물을 뜻한다.

④원생생물

: 진핵생물 중 균류, 식물, 동물이 아닌 생물을 말한다. 예로는 조류, 아메바가 있다. 여기서 조류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를 말하고, 엄연히 식물과는 다르다. 왜냐하면 조류는 뿌리, 줄기, 잎이 없기 때문이다.

진화-순서-체계
진화 순서 체계이다. 사진 맨 상단의 숫자가 오른쪽으로 갈 수록 최근이란 뜻이다.

2) 경계자의 발견

(1) 바이러스

: 전자 현미경으로만 관찰이 가능하고, 생물인 세균보다 크기가 작아서 세균여과기를 통과한다. 바이러스는 무생물적과 생물적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①무생물적 특징

: 바이러스 자체적으로 효소가 거의 없어서 스스로 물질대사를 할 수가 없다. 그래서 숙주 밖에서는 단백질 덩어리일 뿐이다. 바이러스를 얼리면 단백질 결정 구조를 얻을 수 있는데 결정구조를 얻는 게 왜 무생물적 특징이라는 것일까? 만약 생물을 얼린다면 균일한 모양으로 얼지 않아서 결정 구조가 나오지 않는다. 세포들의 모양이 조금씩 다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바이러스는 세포 소기관들이 없고 세포 구조를 관찰할 수가 없다. 즉 기본단위가 세포가 아니란 거다. 그래서 얼려서 결정구조가 나온다는 게 무생물적이란 것이다.
우린 바이러스가 무생물적 특징을 보일 땐 비리온이라고 부른다.

②생물적 특징

: 숙주 속에서는 유전 현상들과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숙주의 효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숙주의 효소들을 이용해 물질대사와 증식을 해나간다.
생물적 특징을 보이면 바이러스라고 부른다.

③구조

:단백질과 핵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핵산의 종류에는 dsDNA, ssDNA, dsRNA, ssRNA 가 있다. 여기서 ds는 이중가닥을 뜻하고, ss는 외가닥을 뜻한다.

④종류

:어느 숙주에 감염하는지에 따라 식물성, 동물성, 세균성 바이러스 라고한다. 여기서 세균성 바이러스를 다른 말로 박테리오파지라고 부른다. 식물성 바이러스는 식물에 감염하는 바이러스라는 뜻이다.
어느 핵산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dsDNA, ssDNA, dsRNA, ssRNA 바이러스 라고한다.